전체 글43 Bubble 속도 느림 문제,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노코드 플랫폼 중 가장 강력한 기능을 자랑하는 Bubble은 복잡한 웹앱도 개발자 없이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 하지만 많은 사용자가 Bubble을 실제로 사용하면서 공통적으로 겪는 불만이 있다. 바로 앱의 속도가 느리다는 것이다. 특히 첫 화면 로딩이 오래 걸리거나, 버튼 클릭 후 반응이 느리다는 경험을 한 사람은 많다. 이 글에서는 Bubble의 구조적 특성과 함께 왜 느려지는지의 원인, 그리고 실제로 효과를 본 해결 전략들을 단계별로 정리한다. Bubble을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부터 운영 중인 창업자까지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했다.1. Bubble이 느려지는 핵심 원인Bubble은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마다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조를 갖고 있다. 기본적으로는 클라이언트 측에서.. 2025. 7. 25. Bubble 사용자별 대화방 리스트 구성 및 시간순 정렬 기능 만들기 채팅 기능을 구현할 때, 가장 핵심적인 UI 중 하나는 대화방 목록이다. 사용자 입장에서 누구와 대화를 했는지, 마지막 메시지가 무엇인지, 안 읽은 메시지가 있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어야 실용적이다. 이번 글에서는 노코드 툴 Bubble을 활용하여 사용자별 채팅방 리스트를 만들고, 최근 메시지를 기준으로 시간순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. 이 기능은 실제 커뮤니티 앱이나 고객상담 서비스에서 필수로 활용되는 기능이다.1단계: Message 데이터 기반으로 대화 상대 목록 만들기별도의 '채팅방' 데이터 타입 없이도, Message 테이블을 기준으로 대화 상대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. 중요한 것은, 메시지를 주고받은 사용자 목록을 중복 없이 추출하는 것이다.Repeating Group 설정 예시Type of c.. 2025. 7. 25. Bubble 메시지 읽음 처리 및 알림 기능 구현하기 – 실시간 채팅 완성편 실시간 채팅 시스템을 구축할 때, 단순히 메시지를 보내고 받는 기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. 사용자 경험을 높이기 위해서는 메시지 읽음 처리와 알림 기능이 꼭 필요하다. 이번 글에서는 노코드 툴인 Bubble을 사용하여 읽음 여부 처리와 안 읽은 메시지 개수 표시를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. 이 기능은 커뮤니티 앱, 고객센터 시스템, 사내 메신저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활용 가능하며, 실무 수준의 웹앱 완성을 위한 핵심 요소다.1단계: Message 데이터에 'is_read' 필드 추가메시지가 읽혔는지 여부를 저장하기 위해 기존 Message 데이터 타입에 다음 필드를 추가한다:is_read (yes/no): 기본값 false이 필드는 메시지가 수신자에 의해 확인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. 기.. 2025. 7. 25. Bubble로 사용자 간 메시지 전송 기능 만들기 – 실시간 채팅 기초 대부분의 웹앱 서비스에서는 사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핵심 기능이 된다. 이 글에서는 노코드 툴인 Bubble을 사용하여 실시간 메시지 전송 기능, 즉 채팅 시스템의 기초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. 개발 지식 없이도 데이터베이스와 UI를 연동하여 사용자가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 반복 그룹(Repeating Group)과 워크플로우를 활용하여 1:1 메시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한다.1단계: 메시지 데이터 타입 생성먼저 사용자 간 주고받는 메시지를 저장할 데이터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. Data 탭에서 새로운 데이터 타입을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:Data type 이름: Message필드 1: content (Text) – 메시지 내용필드 2: sender (User).. 2025. 7. 25. Bubble에서 사용자 프로필 설정 및 이메일 인증 기능 추가하기 노코드 툴인 Bubble을 사용하면 웹앱에 필요한 핵심 기능들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. 이번 글에서는 실제 서비스 운영에 필수적인 사용자 프로필 설정 기능과 이메일 인증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을 소개한다. 사용자 정보 수정과 이메일 검증은 보안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 요소로, 모든 웹앱에서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기능이다. 이 글에서는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실습 방식으로 설명한다.1단계: 사용자 프로필 필드 추가하기먼저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자(User) 데이터 타입에 필드를 추가해야 한다. 아래는 자주 사용하는 필드 예시이다:name (텍스트) – 사용자 이름bio (텍스트) – 간단한 자기소개profile_image (이미지) – 프로필 사진Bubble의 Dat.. 2025. 7. 25. Bubble로 로그인 기능 있는 웹앱 만들기 – 초보자용 실습 튜토리얼 노코드 툴인 Bubble을 활용하면 누구나 직접 로그인 기능이 포함된 웹앱을 만들 수 있다. 이 글은 개발 지식이 없는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도록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을 단계별로 만드는 실습 튜토리얼을 제공한다. Bubble은 시각적 구성 방식 덕분에 코드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. 이번 실습을 통해 실질적인 웹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손쉽게 완성해볼 수 있다.1단계: 새 프로젝트 생성가장 먼저 Bubble.io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완료한 후, 새 프로젝트를 생성한다. 프로젝트 생성 시, 이름은 예를 들어 "LoginApp"처럼 명확하게 지정하는 것이 좋다.Bubble 대시보드 → New App → 앱 이름 입력Blank template 선택 → Create 클릭2단.. 2025. 7. 25. 이전 1 ··· 4 5 6 7 8 다음